어린이들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과 생명력은 우리삶의 원동력임을 믿고 있습니다!

놀이를 통해 배운 어린이는 이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응답:조언 부탁드립니다.

2001-04-19

view :287
안녕하세요..

아동들을 보육하다보면, 정상과 장애에 관한 뚜렷한 범주를 정하기 매우 어렵고,
아동마다 보이는 개별적인 특성으로 인해 교사가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갖게 됩니다.
말씀하신 아동에 관해
현재 98년 아동이라고 생각됩니다.
선생님 말씀으로 보면 약간의 자폐성향이 있지만 자폐성향의 아동으로 분류하기 어려
운 특성등이 있습니다. 흔이들 "발달지체"나 "애착성 반응장애"라고 이야기 하지만
이 아동들의 예후가 매우 다양하고 발전적이기 때문에 어떤 장애명을 붙이는 것은 적
절하지 않습니다.

먼저 부모님께 정확한 안내를 해드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는 상태가 다른 아이들과 차이가 있다는 것과 이런 경우 진단을 받아 조기에 발견하
여 특별한 서비스(특수교육적 서비스)를 받으면 얼마든지 발전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려드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그 시기를 놓치거나 조기에 개입이 되어지
지 않을 때 아동들은 계속적으로 발달하고 그 발달이 이상적인 발달로 연결되면 더 어
려워 질 수 있음을 설명드릴 필요가 있습니다.

상담을 의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
먼저 병원을 찾으시는 것 보다는 다양한 전문가들을 통한 전체적인 진단과 검사를 받
아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서울장애인 종합복지관(상담전화:441-5001) 이 곳은 여러 전문가들이 팀으로 진단을
하기 때문에 아동의 교육과 관련한 진로에 좋은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당장 어린이집에서 교사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동이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배려하는 일과
언어적 자극을 주고 특히 언어적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필요합니
다. 이 아동의 경우 청각적인 문제가 원인으로 언어적 자극이 매우 부족한 경우라면,
일반 보육교사들의 세심한 언어적 자극 만으로도 아동들이 많은 발전을 할 수 있습니
다.

부모님과 상담을 하실 경우
장애와 관련하여 단정적으로 이야기 하시는 것은 피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아동들은 정확한 개입만 해주면 많이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애매 모호한 표현을 쓰시는 것도 부모님의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상처받을까 걱정하다 상처를 주는 경우를 저희도 많이 경험했습니다.
현재의 상황에 대한 간단하고 명료한 설명과 정확한 안내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부모님께 심리적 지지를 해줌으로서 부모가 동기를 가지고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합니다. 교사는 나와 내 자녀를 돕고 있구나 하는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지 마시고 선생님의 판단데로 움직이시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상담자 : 이창미 (곡교어린이집 원장)
quick-up quick-up